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성상세포종

성상세포종 정의 및 종류

신경교종이란

뇌세포에는 신경세포(neuron)와 신경세포를 지지해주고 영양분 공급, 노폐물 제거 등의 역할을 해주는 아교라는 뜻의 교세포(glial cell), 두 종류가 있습니다. 뇌에 생기는 종양에 신경세포종양은 매우 드물고 대부분이 교세포종이며 다른 말로 신경교종(glioma)이라고 합니다

신경을 이루는 세포들

[ 신경을 이루는 세포들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암의 분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분류 체계인데 성상세포종이 속한 저등급성 신경교종(Low grade glioma)은 WHO 2등급(grade Ⅱ)에 해당하며 교세포(glial cell)에서 기원하는 다양한 종양을 일컫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상세포종(diffuse astrocytoma), 핍지신경교종(oligodendroglioma), 두 가지가 섞인 혼합교종(mixed glioma)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성상세포종이 가장 흔히 발병합니다. 저등급 신경교종은 세포분화가 잘 되고, 성장 속도가 느린 종양으로 주변 뇌조직으로 침윤성장을 합니다.

[ 저등급성 신경교종의 분류 ]

[ 저등급성 신경교종의 분류 ]
WHO 분류체계 종 류
WHO 2 등급 (grade Ⅱ)
저등급성 신경교종

성상세포종(astrocytoma)
핍지신경교종(oligodendroglioma)
혼합교종(mixed glioma)
상의세포종(Ependymoma)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Pilocytic astrocytoma)
다형성 황색 성상세포종(Pleomorphic xanthoastrocytoma)
뇌실막하 거대 성상세포종(Subependymal giant cell astrocytoma)
신경절신경종(ganglioglioma)

최종수정일 : 2020년 11월 04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