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고환암

정의

고환암은 고환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남성의 악성 종양 중 약 1%정도를 차지하는 비교적 드문 질환이지만 15세에서 35세 사이의 남성에서 흔한 종양 중의 하나입니다. 그러나 영상진단방법의 발달 및 종양지표의 개발로 치료 효과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으며, 방사선학적으로 발견되는 잔존 병소의 수술적 치료와 방사선 치료법, 항암화학요법의 발전 및 개발로 인해 현재는 모든 고형종양 중 가장 예후가 좋은 종양입니다.

고환암의 종류

1940년대 이후 고환종양의 분류 시도가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가 제정한 분류체계가 표준 병리 기준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임상적으로는 아래 표와 같이 분류합니다.

[ 고환 종양의 임상적 분류(WHO;1977) ]

[ 고환 종양의 임상적 분류(WHO;1977) ]
종자 세포 종양 정상피종(seminoma)
배아암(embryonal carcinoma)
기형종(teratoma)
융모막 암종(choriocarcinoma)
난황 주머니 종양(yolk sac tumor)
비종자 세포 종양 레이디히(Leydig) 세포 종양
서톨리(Sertoli) 세포 종양
생식샘 모세포종(gonadoblastoma)
전이성 또는 속발성 종양 림프종 (lymphoma)
백혈병 (leukemia)

종자 세포 종양

정상피종(seminoma)

전형적(classic), 역형성(anaplastic), 정모세포성(spermatocytic) 상피종으로 분류됩니다. 전형적 정상피종은 30대에 호발합니다. 역형성 정상피종은 약 5~10%를 차지하며 발견 당시 대부분 높은 병기입니다. 국소 및 원격전이가 잘 되며 대부분 융모성선자극호르몬(hCG)을 생산합니다. 정모세포성 정상피종은 약 5~10%를 차지하며 주로 50세 이후에 발생합니다.

배아암(embryonal carcinoma)

배아암은 성인형과 유아형으로 나뉩니다. 성인형은 일반적으로 19~26세의 젊은 남성에게 발생합니다. 정상피종보다 더 빨리 퍼지고 항상 회음부 후면에 있는 림프절부터 침범합니다. 혈행을 따라 폐, 간 등 다른 부위로 전이됩니다. 유아형은 난황주머니종양이라고도 합니다.

기형종(teratoma)

소아와 성인 모두에서 관찰됩니다. 크게 성숙형과 미성숙형으로 나뉘며 성숙형은 외배엽, 중배엽, 내배엽에서 유래된 양성 조직 소견을 보이고 미성숙형은 미분화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암화학요법에 저항하며 예후도 나쁩니다.

융모막 암종(choriocarcinoma)

비정상피종의 치명적인 유형이며 다른 장기로 빠르게 전이됩니다. 대부분 다른 조직과 혼합된 형태로 발견되며, 순수 융모막암종은 극히 드뭅니다. 순수 융모막암종은 24~26세의 젊은 연령에서 고도의 융모성선자극호르몬(hCG) 상승과 함께 폐 및 뇌의 혈행성 전이암으로 나타나며, 흔히 심한 출혈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촉진했을 때 고환은 정상 또는 위축되어 있고 여성형 유방이 흔히 나타납니다.

난황 주머니 종양(yolk sac tumor)

유아 및 소아에서 가장 흔한 고환종양입니다. 성인에서는 다른 대부분 조직형과 조합으로 나타나며, 알파태아단백(α-fetoprotein) 생성에 관여하게 됩니다.

혼합 종자세포종양

6,000명 이상의 고환암 환자를 관찰한 결과, 60%이상에서 두 가지 이상의 조직형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가장 흔한 것은 배아암, 난황주머니 종양, 기형종 및 융합세포 영양막세포의 조합입니다.

고환상피내암종 : 상피내암

고환암뿐만 아니라 모든 악성 종양에서 전암 병변의 조기 진단이 생존율의 향상에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고환상피내암은 정모 세포 생식 세포종을 제외한 나머지 고환 종양의 전암 병변으로 여겨집니다. 하지만 고환상피내암의 임상적 중요성, 조기 진단의 필요성 및 상피내암의 치료 등에 대한 이론이 있는 실정입니다.

비종자세포 종양

고환종양 중 일부는 비종자세포성 종양입니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레이디히 세포(Leydig cell)와 정자의 성숙에 관여하는 서톨리세포(Sertoli cell)에서 유래되는 암이 이에 속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9년 05월 27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