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편평상피세포암

진단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피부 조직검사를 해야 합니다. 조직 생검병변의 모양이나 위치 환자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펀치생검(punch biopsy)

매우 두꺼운 병변도 펀치를 이용하면 쉽게 조직을 떼어낼 수 있습니다. 보통 3mm 펀치가 사용되는데 그로 인해 생긴 상처는 모양이 둥글며 상처의 끝 부분이 거칠지 않습니다. 때에 따라서 3mm 이상 되는 상처는 봉합을 해서 상처 치유를 돕기도 합니다. 대부분의 깊이가 얕은 염증성이나 수포(물집)성 병변, 악성 흑색종을 제외한 양성 혹은 악성 종양에 사용합니다.

펀치 생검 - 생검 후 생긴 상처의 모양, 표피, 진피, 지방

[ 펀치 생검 ]

면도생검(shave biopsy)

면도 생검은 융기되어 있는 병변 또는 융기된 부분의 병변을 떼어낼 때 유용합니다. 특히 모반의 제거에는 탁월한 미용적 효과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염증성 병변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지루각화증(검버섯), 사마귀, 융기되어 있는 모반, 흑색종 외 악성 종양 등 피부의 표면에 있는 양성 종양이나 악성 종양 등에 사용합니다.

면도 생검 - 병변

[ 면도 생검 ]

절제 생검(excision biopsy)

비교적 작은 종양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국소 마취 하에서 종양 전체를 제거합니다. 그리고 제거된 조직을 가지고 조직 표본을 만들어 진단합니다. 절개된 부분은 녹거나 녹지 않는 실로 봉합해 줍니다. 결절홍반과 같이 상처가 깊은 염증성 질환이나 악성 흑색종에 사용합니다.

기타

그 외에 종양의 침윤(주위로 퍼지는 것) 깊이나 전이 등, 병의 확산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흉부X선촬영과 복부 초음파검사를 비롯해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한 검사, 전산화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정밀검사를 필요에 따라 실시합니다.
검사를 통해 암이 어느 정도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맞추어 치료법을 선택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6년 07월 1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