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의 그림은 미국의 한 병원에서 1960년대부터 시작한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의 치료에 따른 무병 생존율을 보여줍니다. 1960년대에 9%에 불과하던 무병 생존율이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80% 이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은 최근 치료방법의 발전 및 지지적 요법 등의 발전으로 인해 생존율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 급성림프모구백혈병의 치료법에 따른 무병생존율 ]
[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치료에 따른 생존율 ]
암치료분야에 표적치료제, 면역항암제 등 다양한 약제들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현재 필라델피아 염색체 양성 백혈병 환자들의 치료에 imatinib, dasatinib 등 표적치료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재발 혹은 불응성 소아청소년 백혈병 환자들의 치료에 blinatumomab, gemtuzumab ozogamicin 등 면역항암제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