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소세포폐암

치료현황

치료를 하지 않은 소세포폐암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6~17주에 불과하나, 치료를 받은 환자는 40~70주로 늘어납니다. 요즘은 새로운 항암제들이 개발되어 비교적 좋은 성적을 내고 있지만, 아직도 치료 후 2년 이상 살 수 있는 가능성은 30%에 불과하며, 5년 이상 살 가능성은 10% 미만입니다.

소세포폐암은 처음 항암화학요법을 쓸 때의 반응이 좋을수록 장기 생존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후 완전관해(육안으로도, 각종 흉부 영상에서도 암이 보이지 않고 사라진 상태)가 되었을 경우 일부에서는 장기 생존이 가능하나 다수에서 재발하게 됩니다. 우리가 일상에서는 쓰지 않는 용어인 관해(寬解, remission)란, 영구적으로든 일시적으로든 병의 증상이 호전되거나 사라지고 임상적으로 통제가 되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한편, 장기 생존자의 경우 항암화학치료의 후유증으로서 이차 원발이 매년 3~5%의 빈도로 발생할 수 있다는 것도 매우 유의해야 할 점입니다.

2024년에 중앙암등록본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에서 2022년간의 폐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남녀를 합해서 40.6%(남자 33.7%, 여자 54.8%)입니다. 폐암의 5년 상대생존율1) 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폐암의 5년 상대생존율 추이 ]

폐암

1993-1995

1996-2000

2001-2005

2006-2010

2011-2015

2016-2020

2018-2022

남녀 전체

12.5%

13.7%

16.6%

20.3%

27.7%

37.5%

40.6%

11.6%

12.4%

15.4%

18.0%

23.5%

31.1%

33.7%

15.8%

17.5%

20.2%

26.0%

37.5%

51.0%

54.8%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4년 12월 발표 자료>

한편, 미국국립암연구소에서는 SEER(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프로그램을 통해 "요약병기(Summary Stage)"라는 병기 분류를 개발했습니다. 요약병기는 암이 그 원발 부위로부터 얼마나 퍼져있는지를 범주화2 한 기본적인 분류 방법으로 그 병기 분류에 따른 5년 상대생존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폐암의 요약병기별 5년(2018-2022년) 상대생존율 추이 ]

폐암

국한(Localized)

국소(Regional)

원격(Distant)

모름(Unknown)

남녀 전체

79.8%

50.4%

12.9%

26.6%

71.8%

43.3%

10.4%

23.0%

90.5%

67.8%

19.0%

34.6%



<보건복지부 중앙암등록본부, 2024년 12월 발표 자료>

-----------------------------------------------------------------------------------------------------------------

15년 상대생존율: 해당 기간 중 발생한 암환자가 5년 이상 생존할 확률을 추정한 것으로, 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했을 경우의 효과를 보정하기 위하여 관찰생존율을 일반 인구의 기대생존율로 나누어 구한 값.

2요약병기에 따르면 암의 범주를 국한(Localized), 국소(Regional), 원격(Distant), 모름(Unknown)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음.

* 국한(Localized): 암이 발생한 장기를 벗어나지 않음/ *국소(Regional): 암이 발생한 장기 외 주위 장기, 인접 조직, 또는 림프절을 침범/ *원격(Distant): 암이 발생한 장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부위에 전이/ *모름(Unknown): 병기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최종수정일 : 2025년 02월 17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