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복막암

개요

최종적인 복막암의 진단은 수술을 시행해서 복막에서 암세포를 확인하고 , 난소와 난관에서 암세포가 없거나 매우 작음을 확인하여야 최종 진단이 가능합니다.
수술 전에는 초음파, 전산화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등에서 복수, 복막 종괴, 대망 침윤 등의 소견이 있으면서 위내시경 및 대장내시경이 정상인 경우 복막암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종양표지자(CA-125) 검사는 대부분 증가되어 있으나, 간혹 정상일 수도 있으므로, 종양표지자(CA-125) 검사가 정상이라고 해서 복막암이 아니라고 할 수 없습니다.

신체 검사

산부인과적 내진검사를 시행해서 질, 자궁, 난소, 난관의 크기, 단단함의 정도, 움직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혈이 있는 경우 자궁내막에 대한 조직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초음파 검사

주로 질초음파를 시행하여 난소, 난관에 종괴가 있는지 확인하고 또한, 복수 여부, 자궁 병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종양표지자 검사

혈액검사로 시행합니다. 종양표지자(CA-125) 검사는 복막암에서 많은 경우 증가되지만, 정상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본 검사가 정상이라고 해서 복막암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종양표지자(CA-125) 검사가 치료 전에 상승되어 있는 경우에는 감소되는 정도를 보면서 치료 효과를 판단합니다. 그리고 재발을 판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전산화단층촬영

전산화단층촬영(CT)은 종양의 분포 및 침윤 범위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소장 및 대장 등 소화기관과 다른 체내 장기를 구별하기 위해서 조영 물질을 먹거나 주사하기도 합니다.

자기공명영상

자기공명영상(MRI)은 전산화단층촬영과 같이 체내 종양의 분포 및 침윤 범위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전산화단층촬영에 비해 폐쇄된 공간에서 장시간 검사하기 때문에 폐쇄공포증이 있는 경우에는 검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위, 대장내시경

관 끝에 달리 카메라를 위, 대장에 삽입하여 위, 대장 점막을 관측하고 , 의심 병변은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수면내시경”이라고 불리는 의식하 진정 내시경 검사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수술 전 조직검사

대개 수술 전 조직검사 없이 수술을 시행하면서 수술 중에 응급냉동절편검사를 시행하지만, 예외적인 경우에 수술 전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항암화학요법을 수술 전에 시행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암세포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복수에서라도 암세포를 확인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