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방광암

진행단계

방광암병기는 크게 종양 세포가 방광 근육층을 침범했는지의 유무에 따라 비근침윤성(표재성) 방광암과 근침윤성 방광암으로 구분되고, 림프절전이 유무, 다른 장기로의 전이 유무에 따라 병기가 결정됩니다. 이를 위해 국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TNM분류법은 1) 방광에서 어느 정도까지 침범해 있는지(T), 2) 림프절로의 전이가 있는지,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N), 3) 다른 장기로의 전이가 있는지(M)의 조합으로 방광암의 병기를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방광암의 진행단계 - 병기, 점박, 점막하층, 근육층, 주위지방층, 비근침윤성(CIS, Ta, T1), 근침윤성(T2, T3, T4), 전이성(N+, M+) 림프절이나 뼈, 폐, 간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 방광암의 진행단계(병기) ]

[ 방광암의 병기(1997년 TNM 분류) ]

[ 방광암의 병기(1997년 TNM 분류) ]
T 병기
(종양의 침범 정도)
Ta 비침습 유두암
Tis 상피내암종(CIS)
T1 상피밑결합조직까지 침범
T2 근육층까지 침범 T2a 얕은근육층(안쪽 반)까지 침범
T2b 깊은근육층(바깥쪽 반)까지 침범
T3 방광주위지방층까지 침범 T3a 현미경적 침범
T3b 맨눈(육안적) 침범
T4 주위 기관까지 침범 T4a 전립선, 자궁 또는 질을 침범
T4b 골반벽 또는 복벽을 침범
N 병기
(림프절 전이 정도)
N0 부위림프절 전이 없음
N1 2cm 이하의 1개의 림프절 전이
N2 2cm 초과 5cm 이하의 1개의 림프절 전이 또는 5cm 이하의 다발림프절 전이
N3 5cm를 넘는 림프절 전이
M 병기
(원격 전이 유무)
M0 원격 전이 없음
M1 원격 전이 있음

[ 방광암의 TNM 병기와 Numerical 병기 Grouping ]

[ 방광암의 TNM 병기와 Numerical 병기 Grouping ]
병기 TNM 침범부위
0a기 TaN0M0 비침습유두암(점막층에 국한)
0is기 TisN0M0 상피내암종
1기 T1N0M0 종양이 상피밑결합조직(점막하층)까지 침범한 경우
2기 T2(a,b)N0M0 종양이 얕은 근육층 또는 깊은 근육층까지 침범한 경우
3기 T3(a,b)N0M0 종양이 방광주위지방층까지 침범했으나 전이 없음
T4aN0M0 종양이 전립선, 자궁 또는 질을 침범했으나 전이 없음
4기 T4bN0M0 종양이 골반벽 또는 복벽을 침범했으나 전이 없음
AnyT N1-3 M0 T병기에 상관없이 림프절 전이가 있으며 원격 전이는 없음
Any T Any N M1 T, N 병기에 상관없이 원격 전이가 있음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