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미만성 거대B세포림프종

진단방법

종괴 부위를 조직 검사하여 진단하게 됩니다. 병리조직을 얻으면 기본적인 염색과 더불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여 종류를 구분하고,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단에 도움을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미만성 거대 B세포림프종의 조직검사 소견입니다.

[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의 조직검사 소견 ]

병기결정을 위한 검사들로는 일반혈액검사(CBC), 혈청 내 간기능검사 및 신기능검사로 림프종 병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혈청 LDH(lactate dehydrogenase) 및 요산의 증가는 종양의 크기를 반영하며 예후 예측에 도움을 줍니다.

흉부X-선 검사에서 비정상 소견이 나타날 때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스캔)으로 병기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은 또한 방사선치료의 계획 수립과 림프종이 종격동, 심낭과 폐문 부위를 침범했을 때 병의 치료 경과를 판단하는 데에 유용합니다.

복부 초음파 및 전산화단층촬영(CT)은 복부 및 골반의 림프종 침범 여부를 알아내기 위한 표준검사입니다. 림프종의 골수 침범 여부를 보기 위한 골스캔 및 골수천자 및 생검, 뇌척수액검사 등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양전자방출촬영술(PET)을 이용한 전신 촬영으로 병기 결정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림프종은 혈액암의 일종이므로 진단 시 골수 침범이 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골수 도말 및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항암치료 전에 우리 몸의 장기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심장초음파 검사 혹은 핵의학 검사, 폐기능 검사 등을 시행하여 항암치료에 적합한지 확인합니다.


[골수 검사]

최종수정일 : 2013년 12월 18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