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위유암종

개요

위유암종은 위에서 발생하는 종양가운데 하나로, 예전에는 매우 드문 발생부위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를 보면 전체 유암종 중 10-40%가 위에서 발생합니다.

발생부위

위장관은 사실상 인체에서 가장 큰 신경내분비계로, 위장관의 내분비세포는 위-식도 접합부에서부터 직장까지 산재되어 있습니다. 창자크롬친화 유사세포[장크롬친화성 세포라고도 함, Enterochromaffin-like (ECL) cell]는 가장 흔히 보이는 내분비세포이고, 위장관계뿐 아니라 기관지외피와 비뇨기계에도 존재합니다 . 유암종은 이러한 내분비계 세포에서 기원하는 종양으로, 신경내분비 세포가 존재하는 신체의 어느 부위에도 생길 수 있습니다. 위장관계에서 가장 많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며 , 그 중 직장에서 가장 많이 생기고 다음으로 십이지장, 위, 식도, 소장 등의 순으로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위의 위치 및 구조

위의 위치

위는 소화기관 중에서 가장 넓은 부분이며, 배의 왼쪽 윗부분인 왼쪽 갈비뼈 아래에 위치하고, 위쪽으로는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위는 우리 몸의 정 가운데 자리 잡고 있으며, 음식물 섭취로 위가 가득 차 있을 때를 기준으로 할 경우 위 전체의 5/6정도(기저부와 대만곡 부위)가 몸의 정중앙선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위의 좁고 가느다란 부분(소만곡과 유문부위)이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습니다.

위의 구조

위는 식도에서 위로 이행하는 위의 입구인 분문부위, 좌상방으로 불룩하게 내민 위저부위, 중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체부 그리고 십이지장을 향해서 가늘어지는 유문부로 나눠집니다.

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하, 장막층의 네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위의 위치 및 구조 ]

위의 위치 및 구조
위의 구조

[ 위의 구조 ]

[ 위의 위치와 구조 영상 ]

위의 위치와 구조 위는 배의 위쪽 부분인 왼쪽 갈비뼈 아래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쪽으로는 식도 아래쪽으로는 십이지장과 연결되어있습니다. 위는 부위에 따라 기저부, 체부, 전정부로 구분되고 오른쪽의 짧은 부위를 소만곡,왼쪽의 긴 부위를 대만곡이라고 부르며 식도와 연결되는 부위를 분문, 아래로 십이지장과 연결되는 부위를 유문이라고 합니다. 위벽은 점막층, 점막하층, 고유근육층, 장막하층 그리고 장막층에 5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위주변에는 간과 췌장, 비장, 십이지장, 소장, 대장 등의 장기와 간에서 흘러나온 담즙이 흘러가는 담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위의 아래쪽에는 복막의 일부가 늘어나서 형성된 그믈막이 붙어있습니다. 위 주변에는 대동맥에서 뻗어 나오는 주요 동맥과 소화관에서 올라오는 문맥 혈관 등이 지나가고 있으며 많은 수의 림프관과 림프절들이 그물처럼 얽혀있습니다.

위의 기능

위는 섭취된 음식물을 일시 저장하고, 수축ㆍ이완의 위운동과 소화액이 포함된 위액분비를 통하여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소화시키는 기능을 합니다.

위에서 분비되는 위액은 무색투명하고 약간 점성이 있는 강산성액이며, 위샘은 주세포ㆍ방세포(벽세포)ㆍ부세포 3종류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세포는 펩신을, 방세포는 염산을, 부세포는 점액을 각각 분비합니다. 한편 위액속의 염산을 위산이라고도 하며, 위산은 단백질 소화 작용에 필요한 물질인 펩신의 활성화를 도울 뿐만 아니라, 살균작용도 있으므로 여러 가지 세균이 십이지장으로 이행하는 것을 막기도 합니다.


[음식물의 이동 경로]

최종수정일 : 2019년 05월 10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