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위림프종

정의

림프종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구성하는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임파종, 임파선암, 임파선종으로도 명명되어지며 그 빈도는 전체 암의 약 5% 정도로 우리나라에 흔한 위암, 폐암, 간암 등의 고형암에 비해서는 훨씬 낮지만, 항암화학요법에 비교적 잘 들어 병이 전신에 퍼진 경우에도 적절한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로 완치를 기대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를 요합니다.

종류

림프종은 크게 조직학적으로 크게 호지킨 림프종과 비호지킨 림프종으로 구분되며 조직학적 특성에 따라 다시 여러 가지 세부아형으로 분류됩니다.

위의 림프종은 95%이상이 비호지킨 림프종이며, 위에서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림프종과 전신 림프종이 이차적으로 위를 침범한 것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위림프종은 전체 위장관을 침범하는 림프종의 50%, 위의 악성 신생물중 4-8%에 해당합니다.

점막 연관 림프조직형 변연부B 세포 림프종인 말트(MALT) 림프종과 악성림프종 중 광범위 B형 대세포 림프종(DCBL)이 위에서 발생하는 림프종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말트(MALT) 림프종은 대부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과 감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사람의 점막은 외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면역기능을 가지는 림프조직이 후천적으로 형성되며 위점막이 이 균에 감염되면 국소 면역반응의 결과 점막연관 림프조직(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이 생기고 이 조직에서 발생한 암이 말트 림프종입니다. 일본의 경우 위에서 원발하는 림프종은 그 60-70%가 말트 림프종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통계가 나와 있지 않습니다.

악성 림프종(Malignant Lymphoma)은 림프절에서 생긴 절성림프종과 림프조직이 아닌 곳에서 발생하는 절외성 림프종으로 구분합니다. 위는 절외성 림프종이 가장 많이 생기는 부위이고 가장 흔하여 위림프종의 45-50%를 차지합니다.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