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팩트체크

검증제안

제자리암(상피내암)의 정의가 무엇인지요?

작성자, 작성일, 암종류, 내용 , 검증결과로 구성 된 테이블입니다
작성자 박흥태 작성일 2023.10.22
구분
검증대상

안녕하십니까?

궁금한 게 있어 문의드립니다.

제자리암(상피내암)은 KCD상 형태학적 분류에서 행동양식을 /2로 하여 분류를 하고 있는데

제자리암의 정의를 Carcinoma in situ라고 규정되어 있고 추가로 Non - invasive라고 규정하면서

한글로 상피내, 비침윤성, 비침습성으로 정해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국가암정보셈타 여러 자료들에서 제자리암은 암세포가 상피내 국한되어 있는 상태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블로그 게시글)

추가로 ICD-10에는 /2 D00–D09 In situ neoplasms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KCD 분류를 보면 상피내 선암종을 M8140/2 상피내 선암종(Adenocarcinoma in situ) NOS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선암종에 대해서는 M8140/3 선암종(항문선/관의 M8215/3 및 난소망의 M9110/3 제외)(Adenocarcinoma

(except of anal glands/ducts M8215/3 or rete ovarii M9110/3)) NOS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의하겠습니다

제자리암은 암세포가 상피내에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하는지

아니면 상피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고 기저막을 뚫을 능력이 없는 비침습성, 비침윤성의 성질을 요건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제자리암이 상피내에 머무르고 있는 상태면 요건을 충족한다면 악성신생물이더라도 아직 덜 자라서 상피내에 있는 상태에서

진단이 되었다면 이 경우 제자리암으로 분류가 될 것이지만

그게 아니고 상피내 존재하면서 비침습성을 요건으로 해야 한다면

기저막을 뚫을 능력이 없는 악성신생물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전자인 경우라면 비록 악성이더라도 아직 기저막을 뚫지 않았다면 제자리암이 될 것이고

후자라면 현재 기저막을 뚫지 않고 상피내 존재하더라도 기저막을 뚫을 능력이 있는 신생물이라면

악성으로 암에 해당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선암종(Adenocarcinoma)은 악성으로 M8140/3에 해당하며 당연히 기저막을 뚫을 수 있는 신생물을 의미하는데

이것이 상피내에 있는 경우 (Adenocarcinoma in situ)NOS는 상피내 선암종으로 M8140/2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M8140/2의 분류에 의하면 비록 악성이더라도 진단 당시 상피내에 존재하면 제자리암으로 분류하는 것인지?

반면에 제자리암을 상피내 국한하여 증식한다는 내용과 정의에서 비침습성을 요하는 걸 보면 기저막을 뚫을 능력이 없는 걸 의미한다

고 보여지는데 M8140/2를 보면 또 그렇지 않은 듯하고 해서 혼동이 옵니다.

제자리암이 설령 암에 해당하더라도 상피내에 존재하는 동안은 제자리암이 되는 것인지?

아니면 아직 기저막을 뚫지 않고 상피내 있더라도 기저막을 뚫을 능력이 있다면 이걸 암으로 보는 것인지?

확실하게 설명 좀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검증내용

상피내암(제자리암)은 기저막을 뚫을 수 없는 암인가요? 

검증결과

상피내암이란 암세포가 원래 발생한 장소(상피층)에 머무르면서 다른 조직층으로의 침윤 및 악성의 형태를 보이지 않는 단계, 혹은 그러한 성질을 가지는 경우의 암을 말합니다. 이 단계에서 발견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암세포는 성장하여 침윤성 암으로 진행합니다. 즉, 암세포가 아직 초기단계라 상피층에 머무른 단계이며, 시간이 지나면 상피층을 벗어나 기저막을 침범하면 침윤성 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암세포를 말합니다. 상피내암은 유방, 자궁경부, 대장, 방광 등에서 흔합니다. 


말씀하신 선암종을 예로 들자면, 선암종(adenocarcinoma)는 선(gland, 腺)세포에 발생하는 악성 암세포입니다. 그러나 이 선암종이 상피층에 머무르는 단계라면 상피내 선암종(adenocarcinoma in situ)으로 진단합니다. 즉, 설령 암의 성질을 가진 세포라 하더라도 상피 내에 존재한다면 상피내암 또는 ‘0기 암’으로 진단이 됩니다. 


상피내암은 아주 초기의 암으로 암세포가 존재하는 구역만 제거하면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검진을 많이 하면서 상피내암 단계에서 진단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거짓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거대B세포림프종
다음글 거대 B세포 림프종

(0 / 300) ※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