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팩트체크

검증제안

두경부 부위 흉선암

작성자, 작성일, 암종류, 내용 , 검증결과로 구성 된 테이블입니다
작성자 윤성종 작성일 2023.04.08
구분
검증대상

보통의 흉선암은 가슴 부분의 흉선에서 발병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갑상선 수술후 조직 검사에서 흉선암이라는 결과를 받았습니다. 이경우 병기는 가슴의 흉선암에 사용하는 병기로 암병기를 구분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검증내용

갑상선에 있는 종양조직검사에서 흉선암으로 판명되면 흉선암인건가요? 

검증결과

흉선이라는 기관은 앞가슴의 한가운데에 있는 흉골의 바로 뒤에서 대동맥과 대정맥을 감싸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모양은 나비처럼 생긴 기관으로 면역계통과 관련된 기능이 있습니다. 

출생 직후에는 몸무게 대비 가장 큰 상태이며, 사춘기 때까지 약 30~40g 정도까지 커집니다. 그러나 성인이 되면서 기능이 없어지고 점점 줄어들기 시작하여 흉선의 대부분이 지방조직으로 대체됩니다. 


external_image

문의내용으로 판단하건데, 갑상선에 종양이 발견되어 수술을 진행하였는데 조직검사에서는 흉선암으로 진단받으신 것으로 보입니다. 조직검사에서 종양세포가 흉선암으로 판명되었다면 그 종양은 흉선암으로 봅니다. 

암세포는 다른 장기로 전이되었다고 하더라도 원발한 장기의 암세포 특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습니다. 그래서 폐암이 뇌에 전이되어도 뇌종양이라고 하지 않고 폐암의 뇌전이라고 명명하며, 폐암 치료에 준하여 치료합니다. 마찬가지로 갑상선에 종양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조직의 특성이 흉선암이라면 흉선암의 병기를 따르며, 흉선암이 갑상선으로 전이된 것으로 보고 흉선암의 치료방법에 따라 치료합니다. 

사실

(0 / 300) ※ 댓글에 대한 법적 책임은 작성자에게 귀속됩니다.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등록 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