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석회란 크기가 보통 2mm 이하의 하얀 점으로 보이는 부분을 말합니다. 유방암 발생 초기에 해당 부분의 세포가 죽으면서 칼슘이 쌓여 미세석회가 생기곤 합니다. 그러나 유방암과 관계 없이 유즙 분비나 유방 염증, 외상, 방사선 조사, 이물질 반응 등의 양성질환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습니다. 섬유선종의 퇴화로 인한 석회화도 있습니다. 실제로 대부분의 석회화는 양성 질환에 의한 것으로, 조직검사에서 나타난 석회화 질환의 약 80%를 차지합니다.
유방촬영에서 미세석회화 소견이 있을 때는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모양과 크기, 숫자, 분포 등을 분석해서 유방암이 의심되는지를 판단합니다. 전형적인 양성 석회화의 특징(예컨대 석회화 부분이 크고 형태가 둥글거나 막대 또는 달걀 껍데기 모양, 내부가 빈 모양 등)을 보인다면 유방촬영만으로 진단을 끝내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 대한 확대 촬영이나 조직검사 등의 추가 조치를 취합니다.
일반적으로 미세석회화의 형태가 그어놓은 줄 같으면서 가지를 치는 등 다양한 모양을 보일 때, 구역을 나누어 놓은 것 같은 분포를 보일 때 유방암일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졌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