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기는 종양의 침습 범위, 췌장이나 주위 림프절의 침범 유무, 원격전이 유무에 따라 결정되며 최근에는 AJCC 8판 TNM 병기에 따릅니다. 종양이 팽대부나 십이지장에 머물러 있는 경우(T1, T2) 1기, 췌장이나 주위 림프절을 침범한 경우(T3, N1). 2기, 종양이 췌장주위 결체조직이나 다른 장기를 침범한 경우 3기이며 원격전이가 있는 경우는 4기로 하였습니다.
[ TNM(Tumor-Node-Metastasis) 병기 분류 ]
TNM 분류 |
정 의 |
|
---|---|---|
T 분류 |
T0 |
원발 종양의 증거가 없는 경우 |
Tis |
상피내암 |
|
T1 |
종양이 바터팽대부, 오디 괄약근 및 십이지장 점막에 국한된 경우 |
|
T1a |
종양이 바터팽대부 또는 오디 괄약근에 국한된 경우 |
|
T1b |
종양이 오디 괄약근을 넘어 십이지장 점막을 침범한 경우 |
|
T2 |
종양이 십이지장의 근육층을 침범한 경우 |
|
T3 |
종양이 췌장, 췌장 주위조직, 또는 십이지장의 장막층을 침범한 경우 |
|
T3a |
종양이 췌장을 0.5cm 이하로 침범한 경우 |
|
T3b |
종양이 췌장을 0.5cm 이상 침범하거나 췌장 주위조직, 또는 십이지장 장막층을 침범한 경우 |
|
T4 |
크기에 상관 없이 복강동맥 또는 상장간동맥를 침범한 경우 |
|
N 분류 |
N0 |
국소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 |
N1 |
3개 이하의 국소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
N2 |
4개 이상의 국소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
|
M 분류 |
M0 |
원격 전이가 없는 경우 |
M1 |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
TNM 분류에 따른 병기(stage)는 다음과 같습니다.
[ TNM 분류와 병기 ]
|
T 병기 |
N 병기 |
M 병기 |
---|---|---|---|
Stage 1A |
T1a |
N0 |
M0 |
Stage 1B |
T1b 또는 T2 |
N0 |
M0 |
Stage 2A |
T3a |
N0 |
M0 |
Stage 2B |
T3b |
N0 |
M0 |
Stage 3A |
T1~T3 |
N1 |
M0 |
Stage 3B |
T4 |
Any N |
M0 |
Any T |
N2 |
M0 |
|
Stage 4 |
Any T |
Any N |
M1 |
<자료: Exocrine Pancreas, AJCC Staging Manual, 8th ed. AJCC는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미국암연합위원회)>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