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막암 환자의 90%는 호흡곤란, 흉통을 겪으며 이 외에도 체중감소(30%), 기침, 쇠약감, 식욕부진, 발열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매우 드물지만 각혈, 쉰 목소리, 연하곤란(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 호너 증후군(Horner‘s syndrome, 축동, 눈꺼풀처짐, 얼굴의 땀이 나지 않는 것이 특징인 신경학적 상태)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흉막암(악성 중피종)의 초기에는 주로 벽측 흉막에 여러 개의 작은 결절들이 나타나며, 또한 장측 흉막을 침범할 수 있습니다. 종양이 진행함에 따라 이러한 결절들이 뭉쳐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을 서로 붙게 만들고, 점점 폐를 둘러싸는 두꺼운 껍질 같은 종양을 만듭니다. 더 진행하면 종양은 전체 폐를 둘러싸고, 폐엽 사이(interlobar fissure) 흉막에도 퍼져갑니다. 이런 종양의 두께는 수 cm 에 이를 수 있으며, 그에 비해서 종양 밑의 폐조직으로는 침범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종양이 진행함에 따라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데, 종양에 의해 폐가 짜부라져 혈액이 폐로부터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는 환기-관류 불일치가 일어나 호흡곤란, 저산소혈증 등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외부에서 산소를 투여해도 증상이 회복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폐렴이나 다른 흉막염이 기침할 때나 깊이 숨을 들여 마실 때 통증이 악화되는 데 반해 흉막암(악성 중피종)의 흉통은 악화되지 않습니다. 흉통은 흉막암(악성 중피종)이 늑골이나 흉곽 내 다른 장기를 침범할 때 발생하며 대개 침범한 부위 주위에 흉통이 발생합니다. 흉막암(악성 중피종)이 횡격막의 중심부를 침범한 경우에는 같은 쪽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는 연관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체 흉막 중에 흉곽과 횡격막 부위의 벽측 흉막에만 감각 신경이 존재합니다. 흉곽 그리고 횡격막의 주변부에는 늑골 사이 신경(intercostal nerve)이 존재하며, 이 신경이 자극 되면 그 주의의 흉벽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에 반해 횡격막의 중심부는 횡격막 신경이 존재하며, 이 부위가 자극되면 같은 쪽 어깨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이를 연관통(referred pain)이라고 합니다. 장측 흉막에는 감각 신경이 없어 통증을 느끼지 못하므로, 흉막에서 발생하는 흉통은 모두 벽측 흉막의 염증이나 자극에 의한 것입니다.
흉막암(악성 중피종)이 진행할수록 체중감소, 마른 기침과 함께 호흡곤란이 악화됩니다. 그 외의 증상으로 발열, 오한, 발한(땀이 많이 나는 증상), 전신 쇠약감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드물게 흉막에만 국한된 흉막암(악성 중피종)도 있지만, 흉막암(악성 중피종)은 대개 흉벽, 심낭막, 횡격막 등의 인접 장기에 침범합니다. 이런 인접 장기로의 침범은 종양의 초기에도 나타날 수 있으며, 연하곤란(음식을 삼키기 어려운 증상), 쉰 목소리, 척수 압박, 팔로 가는 신경의 압박, 호너 증후군(Horner’s syndrome, 축동, 눈꺼풀처짐, 얼굴에서 땀이 안 나는 것이 특징인 신경학적 상태), 상대정맥 증후군(종양이나 혈전, 염증이나 감염증에 의해 상대정맥이 막혀 호흡곤란, 얼굴의 부종, 팔의 부종 등이 생기는 질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와 관련된 각종 질환이 발생하고 사망할 수도 있습니다.
흉막암(악성 중피종)은 복강 안으로 퍼져 나갈 수도 있는데, 이는 특히 흉막암(악성 중피종)에 대해 적극적 치료를 시행하여 장기간 생존한 환자에서 발생하며, 복막에서 발생한 악성 중피종처럼 복막을 따라 퍼져 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자에서는 간이나 다른 복강 내 장기로의 침범은 드물지만, 창자가 막히는 것이 가장 흔한 문제입니다.
흉막암(악성 중피종)은 간, 폐, 뼈, 부신, 뇌 등으로의 혈행성 전이(피를 타고 암세포가 전이되는 것)가 가능한데, 이들 전이에 따른 각각의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아무 증상 없이 다른 이유로 시행한 흉부 단순 X-선 촬영 상 흉수 소견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흉부 검진 상 흉막암(악성 중피종)이 있는 쪽 흉벽에 혹이 만져질 수 있으며, 악성 중피종이 있는 쪽의 흉곽이 오히려 작아지며 갈비뼈 사이 간격이 좁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만성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하는 곤봉지(손가락 마지막 마디가 곤봉처럼 동그랗게 되는 것) 소견이 보일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