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안종양

치료방법

각각의 암이 대부분 위치와 경우에 따라 다른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수술적 치료

1. 안구 제거술

안구 내에 생긴 종양이 너무 커 안구의 기능뿐만 아니라 미용적으로도 손상이 많고, 뇌 등으로 전이되는 것이 우려될 때 근치적으로 안구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안구 제거 후에는 이차적으로 의안 수술을 해야 합니다.

[ 안구 제거술과 의안 삽입 ]

안구 제거술과 의안 삽입 안구 제거술은 종양이 다른 부위로 퍼지지 않았을 때 시행할 수 있는 치료법입니다. 안구를 제거한 공간에는 공 모양의 삽입물을 넣고 결막으로 덮어주는데 수술 후 1개월에서 3개월이 지난 다음에는 눈의 모양을 살리기 위해 의안을 착용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미용적인 측면을 고려 눈을 움직이는 근육을 삽입물에 부착하여 움직이는 의안을 시술하는 경우가 많은데 필요시 안화 삽입물에 의안과 연결되는 운동 축을 삽입 안와의 움직임을 개선하기도 합니다.
2. 눈꺼풀 재건술

안와 종양

안구 주변 조직에 발생한 종양의 기본적인 치료 방법은 수술적 제거입니다. 눈 주변에 머리뼈와 코뼈가 있으므로 종양이 주변 기관까지 침범했다면 안과뿐 아니라 신경외과나 이비인후과와의 협진을 통하여 제거 수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를 추가로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안와 주변에만 국한된 종양의 경우에는 눈 주변의 피부를 절개하여, 주변 조직을 박리 후 종양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종양으로의 접근 경로가 다양하지만 미용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은 쌍꺼풀 선(線)을 따라서 절개한 후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안와 종양 제거술

[ 안와 종양 제거술 ]

종양에 가장 빨리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절개를 하기 때문에 종양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안구 뒤에 있는 종양이나 눈물샘 종양의 경우에는 수술 중 일시적으로 안와뼈를 제거하고 복원하기도 합니다.
안와 종양 중 림프종이 의심되면 수술을 통해서 일부만 제거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조직 검사 후 진단이 확진 되면, 수술로 완전한 종양 제거를 하지 않고 방사선치료진행합니다.

눈꺼풀의 종양

눈꺼풀의 종양은 수술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때 종양이 있는 부분과 눈에 보이지 않는 침습까지 감안하여 훨씬 더 넓은 부위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눈의 모양에 상당한 문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적 제거와 함께 미용적인 재건을 같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한편,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하는 경우 피부 늘어짐이 많아 여분의 피부가 많으므로 종양의 크기가 작다면 여분의 피부를 당겨서 직접 봉합할 수 있습니다.

눈꺼풀 종양 제거술

[ 눈꺼풀 종양 제거술 ]

하지만 종양 제거 후 결손 부위가 광범위한 경우에는 주변 조직을 당겨서 재건하는 것이 역부족일 수 있습니다. 또한 눈꺼풀의 기본적인 기능인 안구보호를 위해서는, 안구와 접해 있는 결막을 꼭 같이 연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눈꺼풀의 결막의 일부를 당기고, 주변 눈꺼풀 피부를 당겨서 이중으로 복원을 합니다. 그리고 1-2개월 후 조직이 잘 생착되면 분리수술을 시행하여 미용적으로도, 기능적으로도 만족스러운 재건을 할 수 있습니다.

눈꺼풀 종양 제거 및 눈꺼풀 재건술

[ 눈꺼풀 종양 제거 및 눈꺼풀 재건술 ]

항암화학요법

다른 암에 비해 안구 암에 있어 항암화학요법의 사용 빈도가 비교적 적지만, 맥락막 전이암, 결막 종양의 경우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항암화학요법 시 오심, 구토, 2차 감염 등의 부작용이 올 수도 있습니다.

냉동치료

냉동치료는 약 -50도의 온도로 종양을 얼려서 조직을 괴사시키는 치료입니다. 주로 결막이나 안검 종양 시 사용합니다.

외부 방사선 조사

방사선을 종양에 직접 조사함으로써 종양 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안종양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이지만, 종양세포 이외의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적절한 양의 방사선 조사가 요구됩니다.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에는 양성자를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방사선 치료에 비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 초 양성자 치료센터가 완공되었으며 양성자 치료가 안종양 치료의 한 축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근접 방사선 치료 (방사선 동위원소 삽입술)

방사성 물질을 안구 종양 뒤쪽의 공막에 고정시켜 삽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적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이 종양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시술입니다.

최종수정일 : 2018년 11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