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의 암이 대부분 위치와 경우에 따라 다른 치료법이 필요합니다.
안구 내에 생긴 종양이 너무 커 안구의 기능뿐만 아니라 미용적으로도 손상이 많고, 뇌 등으로 전이되는 것이 우려될 때 근치적으로 안구를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안구 제거 후에는 이차적으로 의안 수술을 해야 합니다.
[ 안구 제거술과 의안 삽입 ]
안구 주변 조직에 발생한 종양의 기본적인 치료 방법은 수술적 제거입니다. 눈 주변에 머리뼈와 코뼈가 있으므로 종양이 주변 기관까지 침범했다면 안과뿐 아니라 신경외과나 이비인후과와의 협진을 통하여 제거 수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방사선 치료를 추가로 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안와 주변에만 국한된 종양의 경우에는 눈 주변의 피부를 절개하여, 주변 조직을 박리 후 종양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종양으로의 접근 경로가 다양하지만 미용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은 쌍꺼풀 선(線)을 따라서 절개한 후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 안와 종양 제거술 ]
종양에 가장 빨리 접근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절개를 하기 때문에 종양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수 있으며, 안구 뒤에 있는 종양이나 눈물샘 종양의 경우에는 수술 중 일시적으로 안와뼈를 제거하고 복원하기도 합니다.
안와 종양 중 림프종이 의심되면 수술을 통해서 일부만 제거하여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조직 검사 후 진단이 확진 되면, 수술로 완전한 종양 제거를 하지 않고 방사선치료를 진행합니다.
눈꺼풀의 종양은 수술로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때 종양이 있는 부분과 눈에 보이지 않는 침습까지 감안하여 훨씬 더 넓은 부위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눈의 모양에 상당한 문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술적 제거와 함께 미용적인 재건을 같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한편, 고령의 환자에게 발생하는 경우 피부 늘어짐이 많아 여분의 피부가 많으므로 종양의 크기가 작다면 여분의 피부를 당겨서 직접 봉합할 수 있습니다.
[ 눈꺼풀 종양 제거술 ]
하지만 종양 제거 후 결손 부위가 광범위한 경우에는 주변 조직을 당겨서 재건하는 것이 역부족일 수 있습니다. 또한 눈꺼풀의 기본적인 기능인 안구보호를 위해서는, 안구와 접해 있는 결막을 꼭 같이 연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눈꺼풀의 결막의 일부를 당기고, 주변 눈꺼풀 피부를 당겨서 이중으로 복원을 합니다. 그리고 1-2개월 후 조직이 잘 생착되면 분리수술을 시행하여 미용적으로도, 기능적으로도 만족스러운 재건을 할 수 있습니다.
[ 눈꺼풀 종양 제거 및 눈꺼풀 재건술 ]
다른 암에 비해 안구 암에 있어 항암화학요법의 사용 빈도가 비교적 적지만, 맥락막 전이암, 결막 종양의 경우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항암화학요법 시 오심, 구토, 2차 감염 등의 부작용이 올 수도 있습니다.
냉동치료는 약 -50도의 온도로 종양을 얼려서 조직을 괴사시키는 치료입니다. 주로 결막이나 안검 종양 시 사용합니다.
방사선을 종양에 직접 조사함으로써 종양 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안종양에서 유용한 치료 방법이지만, 종양세포 이외의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정확하고 적절한 양의 방사선 조사가 요구됩니다.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근에는 양성자를 이용한 치료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방사선 치료에 비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7년 초 양성자 치료센터가 완공되었으며 양성자 치료가 안종양 치료의 한 축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방사성 물질을 안구 종양 뒤쪽의 공막에 고정시켜 삽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적은 부작용으로 방사선이 종양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시술입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