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국가암정보센터

내가 알고 싶은 암

기저세포암

피부의 구조

피부는 표면에서 가까운 순서로 표피, 진피 및 소위 지방층이라고 부르는 피하조직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또 표피는 몇 개의 층으로 나뉘는데, 이것은 표면에서 가까운 순서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이라고 불립니다. 표피 최하층인 기저층은 진피와 접하고 있습니다. 진피에는 혈관, 신경, 모낭, 피지선, 땀샘, 입모근 등의 조직이 있습니다. 이들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가 악성화한 것을 총칭해서 「피부암」이라고 부릅니다.

피부 : 땀샘(한선), 모낭, 정맥, 동맥, 표피, 진피, 피하조직.   표피의 구조 :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 랑게르한스세포, 멜라닌세포

[ 피부 및 표피의 구조 ]

[ 피부의 구조 영상 ]

피부의 구조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집니다. 가장 위의 표피층은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며 각질형성세포, 멜라닌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메르켈촉각세포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표피의 기저층 아래에 위치하는 진피에는 모낭과 입모근, 피지선, 한선, 혈관과 신경 등이 존재하는데 진피는 섬유아세포, 비만세포, 조직구, 랑게르한스세포, 림프구 등의 세포와 교원섬유 및 탄력섬유의 결체조직 그리고 특별한 형체가 없는 기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피부 맨 아랫부분의 피하조직은 지방층이라고도 불리며 지방층 아래에는 근육이나 뼈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피부암은 피부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조직과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성장함에 따라 피하조직 등 주변조직으로 성장하거나 림프관을 따라 주변 림프절에 전이를 일으키기도 하고 혈관을 따라 다른 장기에 전이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피부의 기능

피부의 기능 중 주요한 6가지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통각, 촉각, 압각 및 온도 감각을 지각합니다.
둘째, 혈관 확장이나 수축을 통한 체온조절을 하고 부속기관인 땀샘은 수분배설과 증발을 통해서 신체를 차게 하며 피하의 지방조직은 절연기능을 합니다.
셋째, 수분과 전해질 균형에 의한 항상성 환경을 제공합니다.
넷째, 세균이나 화학물질과 같은 이물질, 물리적 및 화학적 외상 그리고 열이나 자외선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합니다. 또한 모발은 피부표면을 보호하여 촉감을 증진시키고 체열을 보존하여 체온을 조절합니다.
다섯째, 피부는 햇빛을 받으면 칼슘과 인의 대사를 조절하는 비타민D를 생성합니다.
여섯째, 진피층의 림프구나 비만세포, 단핵 식균세포, 랑게르한스세포 등에 의한 면역학적 방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런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피부는 나이가 들면 변화가 나타나며 태양에 오래 노출되면 변화가 가속화됩니다. 피부는 건조해지고 탄력성이 소실되며 얇아지고 주름지며 피하지방층이 감소됩니다.
노화에 의한 피부변화는 피부의 상해나 피부질환에 대한 위험성을 증가시킵니다.

발생부위

기저세포암은 우리나라의 경우 두경부, 특히 얼굴 중앙 상부인 코, 뺨, 머리, 이마 등에 전체의 약 85% 정도가 발생합니다. 그 외 유두, 음경, 음낭, 외음, 항문 주위부 등에도 생길 수 있으나 손바닥, 발바닥에는 거의 안 생기고 점막에서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최종수정일 : 2013년 02월 01일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